외부 생태계와의 연동
다양한 주제에 대해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대화형 AI 서비스로 플러그인 시스템 '스킬'을 통해 외부 생태계와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새로운 탐색 사용성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상상력 X AI
'CLOVA X'의 'X'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실험(Experiment), 상상력(Imagination)을 의미하는 만큼 사용자의 상상력과 AI가 콜라보레이션 되어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1.생산성을 향상시켜주는 AI
개인과 기업이 진행하는 작업의 능율을 최대로 높여주기 위한 도구입니다. 정보 탐색, 지식 습득, 반복 업무, 커뮤니케이션, 고객 서비스, 콘텐츠 창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여주고 사용자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작업과정의 자동화를 이뤄냅니다.

2.생태계를 확장하는 AI
네이버의 다양한 내부 서비스들뿐만 아니라 외부의 수많은 서비스들과 연결됩니다.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내.외부 연동 API '스킬'을 통해 다양한 사업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AI 생태계를, 사용자에게는 최신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에서 기업과 연동하여 활용한 사례를 제시합니다.

3.커스텀이 가능한 AI HyperCLOVA X가 적용된 CLOVA Studio를 통해 기업이 보유한 대량의 자체 데이터셋을 활용한 특화된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최적화된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전문적인 지식들이 필요한 분야에서 발생한 어려운 문제들에 대해 기업들이 대처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가 어떤 전략으로 이 기술을 도입했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연관된 기술들은 어떤지, 현재 산업동향은 어떤지 알아보았습니다.
1.하이퍼클로바X의 전략 - 다양한 국내 업체들과의 재휴

네이버 D2SF(네이버 자체 투자 조직)를 통해 생성 AI 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신규모집
2.하이퍼클로바X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1)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의 기능
- '스킬Skill' : 대화 주제에 맞춰 최적의 답변을 찾아주는 외부 생태계 연결 고리
- '멀티모달Multimother' : 테스트뿐만 아니라, 영상도 이해 가능
-'디스커버리Discovery' : 기억하고 싶은 대화는 저장해 나만의 정보로 만들어 다음 답변에 정확도를 높임
-'커넥터Connector' : LLM과 나의 문서 정보를 연결해 생산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함

2)생성 AI 검색 서비스 ‘큐(Cue:)’
: 사람처럼 검색/답변이 가능하며, 버티컬/외부 서비스와 연동돼 입체적인 답변을 제공
Cue:는 하나의 대형 언어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크기가 다르고 기능들이 각자 다른 다수 언어 모델들을 사용합니다. 이런 언어 모델들을 합쳐서 모듈화된 LLM 플랫폼(Modularized LLM Platform)으로 설계하여 모든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전체 모델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만족시키는데 필수적인 부분만 동작 시킴으로써 효율성(Efficiency)을 향상시키고 응답 속도를 끌어올렸습니다.
3)클라우드 서비스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
: ‘뉴로클라우드’에 하이퍼클로바X를 결합한 B2B 서비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용 하드웨어 Neurocloud 위에 GPU 클러스터를 결합하여, 초대규모 AI 모델 HyperCLOVA X 와 학습, 운영 도구를 기업에게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고객의 데이터를 학습한 특화된 언어 모델을 만들고, 고객의 데이터센터 내에서 사내망과 연동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보안 요건을 완벽하게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3. 하이퍼클로바X 활용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바드’ 등 글로벌 경쟁 업체들이 수개월 먼저 서비스를 출시하며 한 발짝 앞서 나간 가운데, 네이버는 다양한 국내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빠르게 이들과의 격차를 좁혀 가려는 모습이다.”(기사본문 발췌)
*클로바X API 연동
국내업체의 다양한 플랫폼들이 클로바X의 기능인 ‘스킬’과 연동되는 형식. ‘스킬’은 네이버 내·외부의 다양한 서비스 API를 연결하는 시스템.
1)현재까지 ‘스킬’기능 활용의 동향 - 주로 네이버 내부 서비스(쇼핑·여행)와 연결
2)‘스킬’기능 활용범위 확장 – 국내기업들과의 외부 연동
3)네이버와 업체들이 갖게 되는 이점(이익)
- 네이버 : 클로바X의 자체 생성 능력의 한계가 있는 답변을 외부업체의 플랫폼이 제공하는 정보로 보완 가능. 이로 인해 이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다.
- 업체들 : 자사 서비스를 이용할 때 네이버를 연동한 또 하나의 창구를 조성했다는 점. 자사 서비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4. 하이퍼클로바X 활용 사례
1) 삼성SDS
클라우드 기반 패브릭스 플랫폼 : 패브릭스는 기업이 전사적 자원관리(ERP), 공급망관리(SCM) 등 내부 인프라에 생성 AI 도입을 원할 경우 하이퍼클로바X와 같은 초거대 AI와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SK C&C
하이퍼클로바X에 SK C&C의 디지털 IT서비스 사업 수행 역량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에 콜센터 자동화를 중심으로 우선 은행, 증권, 카드, 보험, 캐피탈 등 금융 각 분야별 맞춤형 초거대 AI 서비스 모델 발굴에 서로 협업하기로 했다.
3)쏘카
쏘카는 자체 데이터를 하이퍼클로바X에 결합해 AI 고객 응대 시스템을 구축하고 추천·예약 기능을 고도화한다.
네이버는 AI·클라우드 기술을 제공해 쏘카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정보기술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네이버클라우드 AI 고객센터 솔루션을 활용해 쏘카의 고객센터 운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도 검토한다.
4)한글과컴퓨터
오는 10월 출시하는 ‘한컴독스 AI’ 베타 버전에 하이퍼클로바X를 적용. 구체적으로 한컴이 개발한 문서 명령어(프롬프트) 기술인 ‘AI 허브’에 하이퍼클로바X를 접목한 방식.
5)스마일개이트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업무 생산성 개선 및 게임 리소스 제작 효율화 연구를 진행한다. 또 게임 내 NPC(이용자가 조작하지 않는 게임 캐릭터)와 메타휴먼 고도화 등을 추진
6)올거나이즈
올거나이즈의 기업 고객들은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알리 LLM 플랫폼 안에서 기업 맞춤형 업무용 툴을 자유롭게 개발 가능. 올거나이즈는 하이퍼클로바X에 대한 기술 관련 피드백도 고객들에게 제공할 방침.
7)클루커스
하이퍼클로바X의 클라우드 MSP 서비스 파트너로서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국내 엔터프라이즈 기업, 게임, 공공 분야를 대상으로 산업별로 특화된 인공지능 서비스와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8)클로잇
하이퍼클로바X의 기술력과 클로잇의 대규모 IT서비스 수행 역량 및 업종 전문지식을 결합해 고객사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AI 서비스를 개발·공급하기 위해 추진됐다. 클로잇은 향후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고객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 여러 솔루션 기업들과 제휴를 확대해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
5. 산업계 동향 - 오픈AI, 구글 등 글로벌 경쟁사들과 생태계 확장 경쟁
1)오픈AI
지난 5월 챗GPT에 플러그인스토어를 출시하면서 스토어에 출시된 다양한 서드파티(제3자) 앱의 플러그인이 챗GPT와 연동될 수 있도록 했다. 엑스피디아, 카약, 오픈테이블, 인스타카트 등 다양한 앱들이 플러그인스토어에 등록돼 있다. 플러그인 기능을 켬으로써 챗GPT의 전체적인 답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2)구글
구글 역시 '바드'를 어도비의 파이어플라이'에 통합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생태계 확장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어도비 외에도 리플릿, 인스타카트, 울프럼알파, 칸 아카데미 등의 파트너들과 바드와의 연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https://www.ncloud.com/solution/featured/hyperclovax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https://www.google.com/amp/s/m.ajunews.com/amp/20230916141912049
'쉽게 들려주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과 베트남의 이커머스 시장 (9) | 2024.08.10 |
---|---|
[3탄]2024년 국내 이커머스 시장 상위권 기업 5곳 비교분석(feat.네이버쇼핑, 쿠팡, 마켓컬리, SSG, G마켓) (0) | 2024.08.08 |
[2탄]2024년 국내 이커머스 시장 상위권 기업 5곳 비교분석(feat.네이버쇼핑, 쿠팡, 마켓컬리, SSG, G마켓) (2) | 2024.08.08 |
[1탄]2024년 국내 이커머스 시장 상위권 기업 5곳 비교분석(feat.네이버쇼핑, 쿠팡, 마켓컬리, SSG, G마켓) (1) | 2024.08.08 |